정책 & 이슈
정부, 산업수요 맞춤형 외국인력 관리체계 마련한다.
2024-06-20
편집인
137
정책 & 이슈
정부, 산업수요 맞춤형 외국인력 관리체계 마련한다.
정부는 6.20(목)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41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외국인력의 합리적 관리방안」을 발표하였다. 정부는 지난해 7월부터 생산가능인구 지속 감소에 따라 급증하는 산업현장의 외국인력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법무부, 고용부, 농식품부, 해수부, 중기부, 산업부, 행안부, 여가부 등 11개 관계부처 합
2024-06-20
편집인
137
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한국어 학습 통합 앱(APP), ‘손안의 세종학당’ 출시
2024-05-29
편집인
132
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한국어 학습 통합 앱(APP), ‘손안의 세종학당’ 출시
◦ 그동안 어휘・문법・회화로 구분됐던 앱을 하나로 통합, 편리성 제고 ◦ 향후 인공지능(AI) 활용 학습 앱 ‘세종학당 AI 선생님’과 연계도 추진 예정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이해영, 이하 ‘재단’)은 5월 29일(수), 학습자들이 하나의 앱으로 한국어를 보다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한 한국어 학습 통합 앱 ‘손안의 세종학당’을 배포했다. [사진: 손
2024-05-29
편집인
132
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통번역과정 시범 운영
2024-05-09
편집인
281
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통번역과정 시범 운영
◦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 8개 세종학당에서 통번역 과정 시범운영 착수 ◦ 기존 개발 12개 언어 외 4개 언어(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 브라질식 포르투갈어) 통번역 교재 개발 완료, 정식 교재는 ’25년 공개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이해영, 이하 재단)은 중고급 한국어 학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의 8개소 세종
2024-05-09
편집인
281
정책 & 이슈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어 학습을 위한 ‘모두의 한국어’ 온라인 서비스 제공
2024-05-08
편집인
2,157
정책 & 이슈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어 학습을 위한 ‘모두의 한국어’ 온라인 서비스 제공
◦ 한국어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중도입국 학생, 외국인 학생 등)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학생 등 누구나 가입하여 사용 가능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원장 서유미)에서 한국어에 익숙하지 못한 학생들(중도입국 학생, 외국인 학생 등)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 ‘모두의 한국어’를 2024년 3월 신학기를 맞이하여 '모두의 한국어’ 서비스를 정식으로 오픈하였다. ‘모두의 한국어’ 서비스는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 한국어를 배우기 위한 학생 등 누구나 가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한국어 학급을 담당하는 교사와 한국어 강사는 온라인 한국어 학급을 개설해서 수업과 과제를 부여할 수 있고, 학생들은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및 테블릿 환경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고,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두의 한국어’ 서비스는 국립국어원의 ‘표준한국어 의사소통편’ 교재 체계를 참고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KSL’생활한국어 교육으로 구성하였고 현재 초등 1∼4단계, 중등 1∼2단계(3∼4단계는 2024년 계발 예정) 한국어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어능력 진단-보정시스템」을 통하여 학생의 한국어능력 수준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맞는 수준별 보정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모두의 한국어’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s://korean.edunet.net/)) 또는 고객센터 1566-0562 (1번 모두의 한국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문화학생 한국어교육 지원 서비스 리플렛(웹 배포용),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제공] 멀티컬처코리아 multiculturekorea@gmail.com
2024-05-08
편집인
2,157
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한국어」 심화 교육과정 공개
2024-04-30
편집인
265
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한국어」 심화 교육과정 공개
◦ 고급 수준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온·오프라인 범용 교육자료 ◦ 교재는 ‘누리 세종학당’, 온라인 강좌는 ‘온라인 세종학당’에서 무료로 이용 가능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이해영, 이하 재단)은 고급 수준의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한 심화 교육과정「세종학당 한국어(5A~6B)」교재와 온라인 강좌를 개발해 ‘누리 세종학당*(https://nuri.ik
2024-04-30
편집인
265
정책 & 이슈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 시범사업 실시
2024-04-22
편집인
137
정책 & 이슈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 시범사업 실시
◦ 오는 5월부터 전국 231개 가족센터에서 교육활동비 신청 접수 ◦ 초등학생 연 40만원, 중학생 연 50만원, 고등학생 연 60만원 신규 지원 여성가족부는 오는 5월부터 저소득 다문화가구의 7세에서 18세 이하 자녀에게 교육활동비를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이번 시범사업은 학교 적응이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 다문화가족 자녀에게 학업·진로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학교를 다니지 않는 다문화가족의 자녀도 지원대상에 포함되며 연령(초등(7~12세), 중등(13~15세), 고등(16~18세))에 따라 지원된다. 지원금액은 초등학생 연 40만원, 중학생 연 50만원, 고등학생 연 60만원이며 교재 구입, 독서실 이용 등 교육활동과 예체능 및 직업훈련 실습을 위한 재료구입, 자격증 지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지원을 희망하는 다문화가족은 5월 1일부터 신분증과 구비서류*를 지참해 자녀 주소지의 가족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신청하면 교육활동비 지급은 신청시기에 따라 1차(7월), 2차(9월), 3차(10월)에 NH농협카드(채움)에 포인트로 일괄 지급한다. 멀티컬처코리아 multiculturekorea@gmail.com
2024-04-22
편집인
137
정책 & 이슈
경상북도, 경북형 이민정책 마스터 플랜 발표
2024-04-03
편집인
112
정책 & 이슈
경상북도, 경북형 이민정책 마스터 플랜 발표
◦ 지자체 최초, 유입부터 사회통합까지 전주기 이민정책 모델 구축 ◦ ‘K-드림 외국인책임제’프로젝트 3대 전략, 27개 세부추진과제 발표 ◦ 인재유입을 위한 R비자제도 마련, 교육패키지 2.0, 취창업연계 시스템 구축 ◦ 외국인 안정적 정착을 위한 행복드림타운, 보육료 지원, 통원진료비 지원 ◦ 아시아 이주 허브 조성을 위한 이민청 유치, 이민자 역량강화
2024-04-03
편집인
112
정책 & 이슈
여성가족부, 「쉬운 한국어로 쓴 한국생활 안내」 첫 발간
2024-01-31
편집인
111
정책 & 이슈
여성가족부, 「쉬운 한국어로 쓴 한국생활 안내」 첫 발간
◦‘외국인 등록증 만들기’, ‘집 구하기’ 등 10가지 생활 필수정보 담아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입국 초기 결혼이민자 등 이주민이 기초 한국어만 알아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한국어로 쓴 한국 생활 안내’(이하 ‘쉬운 한국생활 안내’)를 제작했다. ‘쉬운 한국생활 안내’에는 ‘외국인 등록증 만들기’, ‘휴대전화 사용하기’ 등 이주민이 한국에서 생활하는 데에 가장 필요한 10가지 주제*에 대한 정보들을 담았다. ‘쉬운 한국생활 안내’는 ‘다누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국 231개 가족센터에 책자로도 배포되고 또한, 이주민이 자주 이용하는 출입국관리소, 주민센터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도록 법무부·행안부 등 유관기관에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여성가족부에서는 다문화가족 종합정보 누리집인 ‘다누리’와 다누리콜센터* 등을 통해 12개 외국어**로 한국생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멀티컬처코리아(multiculturekorea@gmail.com)
2024-01-31
편집인
111
정책 & 이슈
경상북도, 외국인 통합 플랫폼 ‘K-드림외국인지원센터’개소
2024-01-17
편집인
105
정책 & 이슈
경상북도, 외국인 통합 플랫폼 ‘K-드림외국인지원센터’개소
◦지역특화 비자사업 확대 추진 기반 마련 ◦외국인 안정적 정착과 공존을 위한 포용적 사회환경 조성 경북도는 17일 ‘K-드림외국인지원센터’ 개소식을 가졌다. [K-드림외국인지원센터 개소식, 경북도 제공] K-드림외국인지원센터는 경북도가 추진하는 외국인 정책의 통합 플랫폼으로, 경북도가 도비 4억 원을 지원하여 지역특화비자 사업 추진과 더불어 외국인 원스톱(
2024-01-17
편집인
105
정책 & 이슈
2024년 다문화 아동·청소년 지원 강화
2024-01-17
편집인
110
정책 & 이슈
2024년 다문화 아동·청소년 지원 강화
◦기초학습 138→168개소, 진로설계 113→143개소, 교육활동비 지원 여성가족부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고생까지 성장단계별로 기초학습, 진로 설계, 이중언어 학습 및 교육활동비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취학 전·초등기 기초학습 지원을 168개 가족센터로 확대하고 사업대상도 초등 저학년에서 초등 전학년으로 확대 및 학업, 교우관계 등 고민에 대한 상담과 자기 주도적 진로 설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가족센터도 113개소에서 143개소로 확대한다. 특히, 이중언어 학습지원의 경우 그동안에는 가정 내 이중언어 소통 환경 조성을 위한 부모 코칭 위주로 지원하였으나, 올해부터는 전문 강사가 자녀에게 결혼이민자(부모)의 모국어를 교육하는 직접학습 지원(총 57억 원(+22억 원 증액))을 강화한다. 참여 가능한 자녀 연령도 12세 이하에서 18세까지로 확대한다. 또한,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활동비 지원(총 168억 원)도 신규로 추진한다. 교육비 활동 지원은 교육 급여(중위소득 50%)를 받지 않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3인 가구 : 약 월 471만 원, 4인 가구 : 약 월 573만 원)의 7세에서 18세 이하의 다문화가족 자녀가 해당되며, 교육활동비는 초등학생 연 40만 원, 중학생 연 50만 원, 고등학생 연 60만 원의 바우처를 지급하고, 교재 구입, 독서실 이용 등 교육활동과 예체능 및 직업훈련 실습을 위한 재료 구입, 자격증 지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여성가족부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이 또래 청소년과의 학력 격차를 줄이고 차별 없이 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멀티컬처코리아(multiculturekorea@gmail.com)
2024-01-17
편집인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