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문화산책
⑤ 이방인들 속의 우리, 우리 안의 이방인
2024-09-04
편집인
363
多문화산책
⑤ 이방인들 속의 우리, 우리 안의 이방인
♥글쓴이 소개 Mr. DE, EDUARD는 한국의 계명대학교에서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러시아 Udmurt State University에서 (석사) 영어영문학을, 계명대학교에서 (학사) 한국문화정보를, 러시아 St. Petersburg University에서 (박사) 러시아어를 전공하였습니다. 아울러, TORFL 감독, Medici
2024-09-04
편집인
363
多문화산책
④ 우리 가족의 한국 생활
2024-07-05
multiculturekorea.kes
203
多문화산책
④ 우리 가족의 한국 생활
글쓴이 Mina Webste는 나의 친한 친구로 현재 약 8,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미주리 주 분빌에 살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살았는데 이제는 두 마리의 개, 에미와 페넬로페와 함께 미국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가까운 곳에서 살고 있다. 반월당 닭강정을 사랑하고 찐 만두를 정말 좋아해서 가끔 문자로 만두랑 닭강정의 안부를 묻는다. 나는 한국
2024-07-05
multiculturekorea.kes
203
多문화산책
③ 다문화주의와 한국
2024-05-13
multiculturekorea.kes
193
多문화산책
③ 다문화주의와 한국
♥글쓴이 소개 Mr. Patrick Curran은 현재 미 육군 제 8군 G37 훈련 및 훈련 책임자의 부관으로 재직 중입니다. 그는 지난 30년 간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한국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총 9년을 해외에서 근무했으며, University of Tampa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Naval War College에서 국가 안보 석사 학위,
2024-05-13
multiculturekorea.kes
193
多문화산책
② 스리랑카 소녀들과의 한국어 인연
2024-05-09
편집인
253
多문화산책
② 스리랑카 소녀들과의 한국어 인연
♥ 글쓴이 소개 글쓴이 심연수 선생님은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을 수료하고 KOICA 해외봉사단원으로 몽골 올란바토르 34번 학교 한국어 교사, 베트남 다낭 깜레 교육국 한국어 교사, 스리랑카 콜롬보 국립 도서관 소속 한국어 교사로 활동하였으며, 대구사이버대학 한국어다문화학과를 졸업한 후에는 대구사이버대학교 서울 학습관 이민자 사회 통합프로그램 한국어
2024-05-09
편집인
253
多문화산책
① 핼러윈과 동지
2024-05-01
편집인
300
多문화산책
① 핼러윈과 동지
가을밤이 점점 길어지는데, 홈플러스에 들러보니 발런타인데이가 아닌데도 사탕과 초콜릿이 가득한 판매대가 눈에 띄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다가오는 핼러윈 때문이었습니다. 한국의 동지와 핼러윈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이를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설명할 때 종종 두 이벤트를 연관 짓곤 합니다. 주한 미군 초등학생들에게 한국어 수업을 가르치는 저로서는 핼러
2024-05-01
편집인
300
多문화산책
프롤로그(prologue) _ ‘多문화 산책, 그 첫 번째 이야기’
2024-05-01
편집인
192
多문화산책
프롤로그(prologue) _ ‘多문화 산책, 그 첫 번째 이야기’
글쓴이 김은섭 선생님은 대학에서 관광학, 일본학 그리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하고 한국에서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는 미군 군속(軍屬)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대구 캠프 워커(Camp Walker)와 진해 CFAC(Commander Fleet Activities Chinhae) 등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프리랜서 교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대구시교육청에서 중도 입국 및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 생활 적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맞춤형 한국어교육 강사로도 활동 중입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쉽지 않은 지역의 현실에서 김은섭 선생님의 한국어교육 교사 활동은 미군 군속(軍屬)과 그 가족 그리고 중도 입국 및 외국인 학생에게 있어서 낯선 한국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 또한 우리 지역민으로서 선주민과의 융합 도모에 큰 도움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인터넷 신문 ‘멀티컬처 코리아’에서 추구하는 다문화적 사회 가치의 실현과도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多문화 산책, 그 첫 번째 이야기’는 김은섭 선생님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교사로 활동하면서 접하게 된 미국과 한국의 문화적 차이와 그 속에서 찾은 문화적 동질성 등에 대해서 미군 군속(軍屬)과 그 가족 그리고 중도 입국 및 외국인 학생과 함께 느끼며 이해했던 선생님의 경험과 다양한 국적을 지닌 선생님 지인들의 다문화에 대한 생각, 경험, 활동 등을 짧은 essay나 article 형태의 글로 풀어낸 것으로 문화적 다양성(타자성)과 동질성(보편성)의 두 요소로 이루어진 상호문화성에 대하여 생각해보면서 다문화적 사회 가치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출처: pixabay.com 멀티컬처코리아 multiculturekorea@gmail.com
2024-05-01
편집인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