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⑤ 상황에 맞는 인사말 표현 _ 안녕하세요
2024-09-11 편집인 356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⑤ 상황에 맞는 인사말 표현 _ 안녕하세요
올해 우리 가족에게 생긴 가장 큰 변화는 ‘이사’이다. 결혼 후 첫째를 낳고 3년 동안은 분가(分家, Cadet Branch)하여 살다가 둘째가 생기자마자 우리 집 근처에서 사시던 친정 부모님과 함께 살기로 하였다. 친정 부모님은 우리 가족을 위해 집을 새로 지으셨고, 드디어 이사를 한 바로 다음 날 예정일보다 좀 빠르게 둘째가 세상에 나왔다. 첫째 둘째
2024-09-11 편집인 356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④ 복잡미묘한 한국어 '느낌' 표현 _ 시원하다
2024-08-19 편집인 425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④ 복잡미묘한 한국어 '느낌' 표현 _ 시원하다
우리집 아이들은 과장을 조금 보태어서 눈만 마주치면 하는 말이 있다. “등 긁어주세요.” 처음에는 등에 땀이 나서 땀띠라도 났나, 벌레가 물었나 싶었는데 하도 여름이건 겨울이건 일상적으로 하는 말이라 이제는 그러려니 하고 긁어주는 것이 일상 아닌 일상이 되어버렸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정말 가렵다면 옆에 있는 아무에게나 긁어달라고 부탁하면 될텐데도 꼭 남편
2024-08-19 편집인 425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③ '띠' 이야기
2024-05-08 편집인 706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③ '띠' 이야기
2024년 새해가 되었다. 평소 궁금한 것이 많고 기발한 말을 잘 하는 셋째가 저녁에 텔레비전을 보다가 이야기했다. “엄마, 올해는 2024년인데 왜 자꾸 청룡의 해라고 해요?” “응. 그건 우리나라에는 띠라는 것이 있는데 자기가 태어난 해를 상징하는 12마리의 동물을 말하는 거야. 2024년을 나타내는 동물은 푸른색 용이라서 그 뜻으로 청룡이라고 해. 올
2024-05-08 편집인 706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② 10월의 어느 멋진 날
2024-05-01 편집인 189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② 10월의 어느 멋진 날
우리집 아이들은 집에서 악기 연주하는 것을 좋아한다. 남자아이만 셋이라 아무리 단속해도 조용함과는 거리가 멀기도 하고 아이들은 자유로운 환경에서 자라야한다는 우리 부부의 생각탓에 일찌감치 아파트 생활은 접고 주택에서 살다보니 크게 소음을 신경쓰지 않고 본인들이 하고 싶은대로 하고 지내는 편이다. 피아노, 오카리나, 리코더, 우쿨렐레, 하모니카, 칼림바 등등
2024-05-01 편집인 189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① '죽다'와 '돌아가(-시)다'
2024-04-24 편집인 163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① '죽다'와 '돌아가(-시)다'
요즘 날씨가 선선하고 좋아 아침마다 7살인 막내를 도보로 등원 시킨다. 매일 약 10분 거리를 아이와 손을 잡고 걸으며 주변 풍경도 구경하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아이에게도 나에게도 즐거운 시간이다. 우리집에서 막내의 어린이집까지 가는 길의 중간쯤에 편의점이 하나 있는데 작년부터인가 그 앞의 자투리 공간에 누군가가 고철을 갖다놓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2024-04-24 편집인 163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프롤로그(prologue) _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2024-04-24 편집인 177
 
알면 알수록 재밌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프롤로그(prologue) _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한국어와 한국문화’
글쓴이 하주은 선생님은 대학에서 중국어와 한국어교육을 전공하였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하는 시각장애 한국어 교사를 보조하는 대구사이버대학교(총장 이근용) 한국어다문화학과 자원봉사 동아리인 「가나다 보들나무 봉사단」의 단장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다문화사회 전문가로서 지역에서 활발하게 한국어교육 및 다문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가 지난 15년간 저출산 문제 해결에 약 280조원 이상의 많은 예산을 쏟아부었음에도 ‘경제적으로 안정되지 않아서’, ‘아이 양육 및 교육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등의 이유로 출산을 기피하고 있는 심각한 인구감소 위기에 처한 한국 사회에서 이제는 정말 찾아보기 드물게 3명의 아이를 둔 열혈 주부이자 애국자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는 하주은 선생님이 천진난만, 엉뚱 발랄한 아이들과의 대화 속에서 발견한 한국어 표현과 한국어 문법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어를 보다 알기 쉽고 재밌게 익힐 수 있도록 쓴 사설(私說)로 아이를 키우고 있거나 키워 본 경험이 있는 독자에게는 아이와의 향수를,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독자에게는 가벼운 마음으로 일상의 사례에서 한국어 표현, 한국어 문법 그리고 한국문화를 익혀볼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출처: pixabay.com 멀티컬처코리아 multiculturekorea@gmail.com
2024-04-24 편집인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