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북도, 글로벌 인재육성에서 지역 경제 일꾼 양성을 목표로 하는 '2023 다문화 정책 방향' 확정
2023-04-12 편집인 87

◦정착지원 정책에서 세금 내는 당당한 경제인으로, 지역과 융화되는 정책 추진

◦이중언어능력․글로벌 환경 특성을 강점으로 미래 대한민국 경제 가교 역할 기대


  경북도는 2023년 다문화 정책 방향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으로 정하고 이주여성의 사회진출 확대를 위한 체계적 지원과 다문화 자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학습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경북의 다문화 가구는 1만 8058세대 5만 7102명으로 전국 대비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는 1만 7432명으로 이 중 40%인 6957명이 초등학생으로 나타났고 국가별로는 베트남, 중국, 필리핀 순으로 많다. 2006년 다문화 정책이 처음 실시될 당시 높은 증가율을 보이던 통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연 3% 초반의 안정적 증가세를 보이는 등 다문화 정책의 대외 환경이 변화하고 있어 변화된 다문화가족 환경에 발맞춰 경북도에서도 기존 한글 교육 중심의 정착 지원사업에서 지역 인재 육성사업으로 사업을 다양화하고 있다.

 

  우선 지역경제 일꾼 양성을 목표로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언어 능력과 글로벌 환경을 활용해 전문 경영인으로 육성하고자 전국 최초로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을 추진했다.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은 도내 우수한 이주여성을 모집해 회계, 무역, 통역 등 전문교육을 연간 243시간 4년에 걸쳐 교육하여 전문 경영인으로 양성시키는 사업으로 지난해 제1기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베트남 출신으로 칠곡군에 거주하는 황수빈 대표는 신한무역을 설립, 식품․화장품 등을 베트남에 수출해 창업 1년 만에 매출 8억 원을 달성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글로벌 레이디 협동조합, 경북도 제공]


  또한, 중국 출신인 포항 전태옥 씨는 결혼이민여성 6명과 「글로벌 레이디 협동조합」을 설립해 네이버 실시간 방송 판매(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지역 농특산물을 팔아 농민과 다문화 가정을 도와주는 등 경북에서 지금까지 받은 도움을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한국과 모국의 문화를 연결하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아울러, 다문화 자녀를 미래 대한민국 경제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글로벌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이중언어대회, 자녀학습지원, 글로벌 인재 육성 프로젝트 또한 실시하고 있다. 특히, 다문화 자녀 이중언어대회는 다문화 자녀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어머니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며 진학 및 진로 결정에 중요한 자산인 이중언어 활용 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로 10회를 맞이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경북도가 유일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중언어대회, 경북도 제공]


  더불어 다문화 자녀가 가장 어려워하는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해서도 학년별 학습 영상 콘텐츠를 제작·배포하고 지역대학생을 멘토로 1:1 매칭해 맞춤형 학습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 미래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경북도는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활발하게 지역 인구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다문화가족이 지역주민과 융화될 수 있도록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고 장기 정착지원과 결혼이민자 사회참여 확대, 다문화 자녀의 안정적 성장지원 등을 추진함으로써 건강한 다문화가족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박성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국제결혼이 급속히 증가한 후 안정화되고 있는 시점에 결혼이민여성이 양국의 문화와 언어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인으로 자립하면서 초기 외국인 주민 정착을 위한 브릿지 역할을 할 것”이라며 “다문화 자녀들을 위해 민․관․학․지역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미래 인재를 육성해 다문화 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멀티컬처코리아(multiculturekor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