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 이슈
세종학당재단, 세종학당 통번역과정 시범 운영
2024-05-09 편집인 282

◦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 8개 세종학당에서 통번역 과정 시범운영 착수

◦ 기존 개발 12개 언어 외 4개 언어(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 브라질식 포르투갈어) 통번역 교재 개발 완료, 정식 교재는 ’25년 공개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이해영, 이하 재단)은 중고급 한국어 학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등 8개국의 8개소 세종학당에서 ‘세종학당 통번역 과정’을 시범 운영한다.

 

 재단은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 및 한국 기업의 활발한 해외 진출 등으로 한국어 통번역 과정에 대한 학습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지난 2021년부터 ‘세종학당 통번역 과정’의 개발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총 12개 언어(영어, 러시아어, 힌디어, 우즈베크어, 키르기스어, 태국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중국어, 몽골어, 미얀마어, 카자흐어)로 ‘세종 통번역’ 교재 개발 및 교육과정 시범운영을 완료했으며, 추가로 4개 언어(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 브라질식 포르투갈어)의 통번역 교재를 신규 개발했다.

 

 재단은 새롭게 개발된 4종의 통번역 교재가 각 언어권 학습자들에게 적합한지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해 보는 통번역 과정 시범운영을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시범운영은 재단이 직접 운영하는 유럽지역 본부 세종학당인 프랑스 거점 세종학당을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세종학당, 콜롬비아 보고타 세종학당 등 총 8개국 8개소 세종학당에서 이뤄진다.

[사진: 올해 시범 운영 중인 '세종통번역' 교재, 세종학당재단 제공]

 

 통번역 과정 시범운영 수업에 참여하는 각 국가의 세종학당 수강생들은 통번역 교재를 활용한 이론 수업뿐 아니라 실습 프로그램을 통해 생생한 한국어 통번역 현장도 경험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들은 이번 시범운영에 참여함으로써 ‘세종 통번역’ 교재 집필진에게 직접 교재 활용법 및 수업 운영 방법 등을 배울 수 있다.

 

 향후 재단은 이번 시범운영 결과 도출된 각 세종학당 학습자 및 교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세종 통번역’ 교재의 최종 수정 작업을 거친 후, 내년(2025년) 상반기에 누리 세종학당(https://nuri.iksi.or.kr/)을 통해 무료로 공개할 예정이다.(개발 완료된 12개 언어권 통번역 교재는 올해 7월 누리 세종학당을 통해 공개)

 

 재단 이해영 이사장은 “이번 ‘세종학당 통번역 과정’을 시범 운영한 4개 언어권은 모두 통번역에 대한 학습 수요가 높은 지역인 만큼 시범운영 결과를 통해 더욱 완성도 높은 통번역 교재를 선보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라고 소감을 밝히며, “더불어 재단은 ‘세종학당 통번역 과정’이 각국 세종학당에서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멀티컬처코리아 multiculturekore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