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문화산책
④ 우리 가족의 한국 생활
2024-07-05 multiculturekorea.kes 206


  글쓴이  Mina Webste는 나의 친한 친구로 현재 약 8,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미주리 주 분빌에 살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 살았는데 이제는 두 마리의 개, 에미와 페넬로페와 함께 미국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가까운 곳에서 살고 있다.  반월당 닭강정을 사랑하고 찐 만두를 정말 좋아해서 가끔 문자로 만두랑 닭강정의 안부를 묻는다. 


   나는 한국에서 총 4년을 살았다. 그 중, 3년은 한국 사회에서 나머지 1년은 미군 기지에서 살았다. 나는 여성이자 세 아이의 엄마로서 한국 시민과 그들의 문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경험을 했다. 나와 아이들은 한국 사람들이 추천해준 음식을 맛보고, 그들의 문화를 경험하고, 그들의 언어를 배울 수 있었다. 우리가 한국에서 방문한 지역들은 모두 비슷한 문화적 실천을 공유하는 것 같았고 그들은 우리를 진심으로 환영해주었다. 한국의 어르신들은 나의 4살, 6살, 8살 어린 아이들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했다. 마치 황금을 만지는 것처럼 그들의 삶에 귀중한 경험으로 여겼다.


  한국의 중년층은 우리를 만나 그들의 문화와 우리의 문화를 교류하고 싶어 했다. 항상 열린 마음으로 우리를 초대하고 초대에 응해주었다. 한국의 청년들은 우리를 좋아했다. 그들은 우리와 이야기도 하고 사진도 찍고 싶어 했다.

한국을 관광할 때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사진이 찍히기도 했고 또 우리에게 알고 있는 영어를 사용하면서 자신들의 지식을 테스트하고 우리가 가르쳐주는 것을 즐거워했다. 젊은이들은 공공장소에서 유쾌하고 온화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그들은 우리를 한국 전쟁을 도와준 국가들 중의 하나로 인식했고 아이들은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미국인이라 이유 만으로 자신들이 슈퍼 스타인 것 같다고 했다.


  내 아이들이 10, 12, 14살이 되었을 때는 한국의 젊은 세대와의 대화를 즐기고, 한국 브랜드의 옷을 사고, 그들의 게임을 하며, 노래방이나 한국 음식점에 가는 것을 즐겼다. 불행하게도 미국의 사람들은 바쁜 일상에 빠져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데에 열정과 즐거움이 없다. 젊은 세대는 종종 예의 없이 행동하며 체계적이지 못한 삶을 살아간다. 미국은 다양한 문화가 서로 독립적으로 공존하고 행동하는 용광로(문화 융합)로 알려져 있다. 많은 국가에서 온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 미국에서 특정 문화를 식별하기는 어렵다.


  한국에서의 쇼핑은 미국과는 매우 다르며 훨씬 즐거운 경험이었다. 평택 안정리에서 살 때, 장날은 3이나 8로 끝나는 날짜로 1월 3일이나 1월 13일 이런 날에 열렸다. 나와 아이들은 장날을 기다렸다. 파란 롤링 카트를 끌고 시장을 돌아다니면서 신선한 농산물, 생활 용품, 의류, 그리고 우리는 앞에서 바로 만들어 주는 음식을 살 수도 있었다. 시장은 농산물은 신선했다. 나는 아직도 달콤하고 부드러운 한국의 딸기 맛과 달콤한 설탕과 견과류를 넣은 호떡이 생각난다. 우리는 종종 그 시장에서 가격을 깎거나 무료로 물건을 받기도 했다. 또한 식료품 점, 월마트와 유사한 대형 상점이나 백화점에서 쇼핑할 수 있었다. 이 상점들은 정찰 가격이 표시된 저가 및 고급 브랜드의 상품이 진열되어 있었고 시장보다 더 다양했다. 상품들은 유리 진열장에 나열되어 있었고 모든 직원들은 자신들이 진열하고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것 같았다. G마켓과 같은 온라인 쇼핑도 있었지만 이용해 본 적은 없다.

 

  미국에서의 쇼핑은 점차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마존, 인스타카트 및 지역 상점과 같은 곳에서 온라인 쇼핑을 이용한다. 실제 쇼핑을 할 때는 한국과 같은 시장은 거의 없다. 사람들은 몇 안 되는 실내 쇼핑 몰, 월마트, 타깃과 같은 대형 상점이나 노점을 이용한다.

 

  한국의 음식점에서는 건강한 음식을 즐기고 저렴한 가격에 다른 사람들과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패스트 푸드점은 매우 적었다. 우리는 시장, 백화점 또는 노점에서 알게 된 새로운 몇몇 음식들을 좋아하게 되었다. 한국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음식은 신선하고 건강에 좋았다. 디저트는 거의 없었다. 우리가 '한국 숯불 바비큐'라고 부르는 곳은 주문한 고기와 함께 신선한 채소를 계속 제공해 주었는데 테이블에 불판이 있어서 고기를 구울 수 있었다. 그곳은 갓 조리 된 다양한 한국 음식으로 구성된 뷔페가 있었다.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 중 한 곳은 떡볶이, 만두, 매운 치킨을 파는 노점이었다.

 

  미국에서는 집에서 음식을 먹는 것보다 주로 패스트푸드나 식당에서 더 많이 먹는 편이다. 건강에 해로운 음식을 파는 식당도 많고, 외식이 너무 인기가 많아서 주 중 어떤 날은 한 시간 이상을 대기해야 한다.

 

  한국의 교통 수단은 버스, 모노레일, 지하철, 기차, 택시 등 대중교통이 주를 이루는 것 같다. 아이들과 나는 혼자 여행할 때에도 대중교통이 매우 안전하다고 느꼈고 아이들은 이런 경험들을 좋아했다. 대중교통은 저렴하고 편리하며 깨끗했다. 기차역은 식사, 쇼핑 그리고 친구들과 만나는데 자주 이용되는 최고의 장소였다. 한국 사람들은 걷기, 자전거 타기, 자가용 운전을 즐겼다. 음식 배달을 제외하고는 오토바이를 많이 본 기억이 없다. 한국에서는 운동과 건강한 생활 습관을 장려한다. 공원과 주거 지역 근처에는 야외에 꽤 인기 있는 운동 기구가 많이 있었다. 놀랍게도 많은 어르신들이 이 운동 기구를 사용했다. 등산을 하는 것은 매우 인기가 있었다.

 

  미국에서의 교통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자동차와 오토바이를 이용한다. 버스, 택시, 기차가 그 다음으로 인기가 있다. 운동은 주로 헬스장이나 사설 체육관에서 하는데 밖에서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것보다는 더 많이 이용한다. 한국의 대중교통에 대한 나의 견해는 미국보다 더 안전하고 깨끗하며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대중교통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지만 뉴욕의 지하철 역에서 사람들의 무질서한 행동에 두려움을 느꼈던 기억이 있다.

 

  한국에서 지냈던 시간은 먹고, 쇼핑하고, 한국 친구들을 만나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아이들과 나에게 멋진 경험이었다. 우리는 언젠가 한국을 방문하자고 계속 이야기하고 있다.


           



<원본>


I lived in Korea for a total of four years. Three years I lived in the Korean community and one year I lived on an American military base. I had a very positive experience with the Korean citizens and their culture as a woman and a mother of three children. Immediately my children and I were supported by many of the Korean citizens to try their food, experience the activities in their culture, and learn their language. The regions we visited in Korea, seemed to all share similar cultural practices. Koreans welcomed us with open arms. The elder generation in Korea loved to be around my young children ages 4, 6 and 8. I was told that by touching my children, it was like they were touching gold that added extra years to their elderly lives. The middle Korean generation was eager to meet us and experience both our culture and their culture together. They were generous with invitations and most gracious hostesses. Their eyes and hearts were always open. The younger adults loved us. They wanted to interview and take photos with us. When sightseeing, Koreans loved to take photos with us, even if we didn’t know them. They were proud to test their knowledge of the English language and learn from us. The younger generation was pleasantly mild mannered in public places. They saw us as part of a nation that saved their country. When 4, 6, 8 my children would often tell me they felt like superstars amongst Koreans just by being an American. When my children were 10,12,14 they enjoyed having conversations with the young adult Koreans, buying their brands of clothing, playing their games, and going to Korean restaurants or activities with them, such as karaoke places.

 

In the US, unfortunately people get lost in their day to day activities and don’t seem to have the same enthusiasm and enjoyment of meeting new people. Young adults are often poorly mannered and live unstructured lives. The US has become known as the melting pot of different cultures that live and ac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 are people from many different countries and have many different cultures, so it would be difficult to identity just one specific culture in the US.

 

Shopping in Korea is a much different and much more enjoyable experience than in the United States. When I lived in Anjung’ri, their outdoor community market days were on calendar days ending with a 3 or an 8, such as Jan 3 or Jan 13. My children and I looked forward to these days. We walked along with our blue rolling cart visiting the markets for fresh produce, household items, clothing, and food prepared right in front of us. The produce was farm fresh. I can still remember the taste of the sweet and tender strawberries and the hot and gooey sweet sugar insides of the hotteok pastries handed to me between pieces of thin cardboard in the winter time. We were able to often bargain for a lower price at these markets or were given free items. We could also shop at grocery stores, large stores similar to Walmart or department stores. These stores had fixed prices for lower and higher end brands and more variety than the outdoor markets. There were formal displays and it was all contained indoors. All of the employees seemed proud to organize, showcase and sell their merchandise. There was shopping online for example with GMarket but I did not have experience with it.

 

Shopping in the US is increasingly taking place online, such as Amazon, Instacart and local stores. When physical shopping does take place, there are few outdoor markets like in Korea. People visit one of the few indoor shopping malls, large stores such as Walmart and Target or independent stores.

 

Restaurants in Korea were avenues to enjoy healthy food and enjoy time with others at an affordable price. There were very few fast food restaurants. We were introduced to some of our new favorite foods in Korea in small and large restaurants at markets, department stores, or independently standing places. Korean food served in restaurants is fresh and healthy. There were very few desserts offered. “Beef and leaf” places, as we learned to call them, had an endless supply of healthy vegetable side dishes to accompany our order of meat that would be cooked in an open fire in front of us. There were buffets with a variety of Korean foods that had been freshly prepared. Some of our favorite places were the independent places that freshly prepared tteokbokki, mandu, and spicy chicken.

 

Eating in the US appears to take place at fast food or sit down restaurants more than at homes. There are many, many restaurants with predominantly unhealthy food being served and the popularity of eating out has become so popular that people oftentimes have to wait up to an hour to be seated at a table on any given night of the week.

 

Transportation in Korea seem to be predominantly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via bus, monorail, subway, train, taxis. My children and I felt very safe in public transportation, even when needing to travel alone and my children loved the whole experience. Transportation was inexpensive, convenient and clean. The transportation stations were often the best places for eating, shopping and meeting up with friends. There were also people who enjoyed walking, riding bikes and driving their own car. I don’t remember seeing many motorbikes except for food delivery. Exercise and healthy lifestyles are encouraged in Korea. There are many outdoor areas near parks and housing areas with exercise equipment that are quite popular. Surprisingly many of the elderly used this equipment. Hiking the mountains was extremely popular.

 

Transportation in the US depends upon your area but predominantly seems to be cars and motor cycles. Buses, taxis and trains are the next on the list in popularity. Exercise in the US seems to take place mostly indoors at homes or private gyms, rather than walking and bicycling outside. My view of public transportation in Korea would be that it’s safer, cleaner and more readily available than in the US. I don’t have much experience with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US but I remember being scared of the unruly behaviors of people in the subway stations in New York City.

 

Being in Korea was a wonderful experience for my children and me for so many reasons, such as eating, shopping and meeting Korean friends. We have talked about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for a visit one day.


김은섭 multiculturekorea.kes@gmail.com